에드몬드옵틱스는 당사 웹사이트의 기능과 콘텐츠를 최적화하고 개선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.‘OK’ 버튼을 클릭하면 전체 쿠키 정책에 동의하게 되며,‘세부 정보 표시’ 버튼을 클릭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당사는 수집된 쿠키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판매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.
이 공급자가 수집하는 일부 데이터는 개인화 및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것입니다.
이 공급자가 수집하는 일부 데이터는 개인화 및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것입니다.
이 공급자가 수집하는 일부 데이터는 개인화 및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것입니다.
이 공급자가 수집하는 일부 데이터는 개인화 및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것입니다.
|
반사형 액시콘은 최적의 심도(DOF)로 고품질의 베셀 빔(Bessel beam) 생성 |
|
색수차가 제거되어 극초단 레이저의 펄스 지속 시간 보존 가능 |
|
저손실 빔 쉐이핑은 반사형 Multi-Plane Light Conversion (MPLC) 활용 |
|
레이저 소재 가공, 의료 용도, 산업용 3D 프린팅 작업에 안성맞춤 |
레이저 빔의 형태를 가우시안 프로파일에서 플랫 탑 또는 베셀 빔(Bessel beam)으로 전환하는 작업은 다수의 정밀 레이저 응용 분야에서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. 이를 위해 굴절형 빔 쉐이핑 광학 부품이 주로 사용되긴 하지만, 반사형 빔 쉐이퍼(reflective beam shaper)와 액시콘(axicon)을 활용하면 투과 손실을 제거하고 출력이 더욱 높은 레이저까지 처리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색 분산이 발생하지 않아 극초단 레이저 시스템에도 사용하기 적합합니다. 반사형 빔 쉐이퍼는 마이크로 소재 가공 및 고정밀 레이저 용도에 안성맞춤인 제품입니다. 극초단 레이저와 기타 레이저 기술의 발달로 효율성 및 정밀도 개선이 요구되면서 빔 쉐이퍼를 활용하는 시스템의 수가 더욱 증가해가고 있습니다.
투과형 액시콘(transmissive axicon)은 원뿔형 광학 부품으로서 원거리장(far field)에서는 입사한 시준빔을 링 모양의 빔 프로파일로 변환시키고 근거리장(near field)에서는 특정 영역에 걸쳐 베셀 빔(Bessel beam)과 유사한 형태로 변환시켜줍니다. 그림 2에서와 같이 베셀 빔의 영역에서는 빔이 전파를 하긴 하지만 회절 및 확장은 일어나지 않습니다. 실제로 베셀 빔의 폭은 회절 한계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.
비축 반사형 액시콘(off-axis reflective axicon)은 고품질의 베셀 빔을 생성하는 광학 부품으로서 투과형 액시콘에 비해 더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. 반사형 액시콘은 투과형 설계보다 더욱 이상적인 베셀 빔을 만들어 내고 고출력 레이저에 더 강한 내성을 보입니다. 광 매질을 통한 전파가 적을수록 색 분산이 제거되고 극초단 레이저 용도에서 펄스 지속 시간이 그대로 유지됩니다. 그림 1은 반사형 액시콘을 이용해 베셀 빔이 생성되는 일반적인 과정을 도식화해 보여줍니다.
그림 1: Off-axis reflective axicon은 입사 빔을 특정 영역에서 Bessel beam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변환하며 그 외의 영역에서 링 모양의 분포로 전파시킴.
반사형 액시콘으로 생성된 베셀 빔 내 광원 강도 집중은 유리 및 기타 투명 소재의 나노 채널 드릴링과 같은 레이저 소재 가공에 안성맞춤입니다.1 유리를 절단하는 효율성은 먼저 나노 채널을 천공한 후 구멍을 따라 유리를 파열시킬 수 있는 정도의 힘을 가하면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. 이때 구멍의 치수는 반복 재현성이 높기 때문에 정교한 제어가 가능합니다. 액시콘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당사 어플리케이션 노트 액시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편을 참조하십시오.
그림 2: Reflective axicon(위)으로 형성된 Bessel beam의 강도 분포 및 Bessel beam(아래)을 사용해 유리 내부에 나노 채널을 천공한 모습, 사진 출처=Courtesy of Cailabs2.
다중 위상면에서의 광 변환(MPLC: multi-plane light conversion) 기법은 위상판(phase plate)과 자유 공간 전파를 통한 저손실 빔 쉐이핑 공정을 가리킵니다.3 이 MPLC는 빔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다중 빔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. MPLC는 투과형과 반사형 구성 모두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, 반사형 MPLC 시스템은 굴절 광학을 통해 전파하면서 야기되는 분산과 흡수를 방지해줍니다. 이와 같은 테크닉은 프랑스 렌에 본사를 둔 심층 기술 회사인 Cailabs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.
MPLC를 활용하는 반사형 빔 쉐이퍼는 다중 경로 공진기(multi-pass caivity)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며, 이 경우 반사형 위상판과 공진거울 사이에서 입사 레이저 빔이 여러 번 반사를 하면서 원하는 출력 빔 프로파일을 생성하게 됩니다. 이와 같은 시스템은 모드 선택성이 높고 삽입 손실이 낮다는 이점을 제공합니다. MPLC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영상을 참조하십시오.
Please accept marketing-cookies to watch this video.
MPLC 개론, 사진 출처=Courtesy of Cailabs
MPLC를 사용해 플랫 탑 빔을 생성하면 정밀도가 향상되고 마이크로 소재 가공과 같은 레이저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성이 개선됩니다. 플랫 탑 빔은 가공부 주변의 열 효과를 감소시켜 가장자리를 평평하게 만드므로 가공 품질을 높여줍니다. 또한 가공부 주변의 중첩과 자재 낭비를 줄이기 위해 직사각형 모양의 빔을 정사각형으로 기울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(그림 3).4 MPLC 시스템은 다양한 레이저 모드를 수용하고 불필요한 모드를 피하도록 맞춤 조절이 가능해 시간 경과에 따른 광원의 변화와 불완전한 입력 빔에 대해 더 적은 영향을 받도록 합니다. 반사형 빔 쉐이핑의 기타 이점으로는 갈보 스캐너와의 호환성, 제조량 증가, 처리 시간 단축, 펨토초 시스템에서의 색 분산 제거 등이 있습니다. 이외에도 MPLC를 사용해 반사형 빔을 쉐이핑하면 레이저 용접, 마킹, 표면 텍스처링, 3차원 프린팅의 정확도가 향상됩니다.
그림 3: 이 정사각형 결과물은 CANUNDA-PULSE reflective laser beam shaper와 Amplitude社 Ultrafast Laser로 마이크로 드릴링 됨. 이와 같은 형태는 주변 중첩과 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함. 사진 출처=Courtesy of Cailabs
1. Laroui, Sami. “Glass Cutting Using Bessel Beams.” Cailabs, 21 Mar. 2019, https://blog.cailabs.com/en/glass-cutting-using-bessel-beams/.
2. Meyer, Remi, et al. “Beam Shaping Aids Transparent Materials Processing.” The Laser User, no. 84, Mar. 2017, pp. 28–29.
3. “Multi-Plane Light Conversion Technology.” Cailabs, https://www.cailabs.com/en/technology/.
4. “Canunda Pulse Datasheet”. Cailabs
에드몬드 옵틱스의 반사형 Canunda-Axicon은 고품질 베셀 빔을 형성시키며 고출력, 초단파 광원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 Canunda-Axicon은 굴절형 액시콘에 의해 형성되는 빔보다 이론적 프로파일에 더욱 근접한 강도 분포에서 흔들림 없이 베셀 빔을 생성합니다. 또한 반사형 디자인 및 정밀한 꼭짓점(apex) 제조로 색 분산이 제거되어 극초단 레이저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.
Canunda-Axicon은 저손실 코팅과 반사형 설계 때문에 펨토초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, 최대 1mJ의 고에너지 레이저와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네, 그렇습니다. Cailabs 사가 개발한 MPLC는 광섬유 통신에도 유용합니다. MPLC는 시스템을 복잡하게 구성하거나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멀티모드 광섬유 시스템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 또한 발산각을 낮게 유지하면서 대기난류를 여과하고 레이저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지상에서 인공위성까지 광 통신을 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.
본사 및 지사별 연락처 확인하기
견적 요청 도구
재고 번호 입력 필요
Copyright 2023, 에드몬드옵틱스코리아 사업자 등록번호: 110-81-74657 | 대표이사: 앙텍하우 | 통신판매업 신고번호: 제 2022-서울마포-0965호,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21, 7층 (서교동, 풍성빌딩)